韩服的样式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Writer阿豪♨전호

본문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3977_1232.webp 


自古以来,从古代到近代,中国朝鲜族的传统服饰始终遵循着上襦下袴(上身穿短衣,下身穿裤 / 裙)的基本样式。同时,得益于东北亚的气候条件,以 Y 形包裹身体的服饰文化得以很好地扎根。值得一提的是,中国的汉服基本为上下一体的连体服,虽随时代有多样变化,一般被称为上衣下裳,与中国朝鲜族传统服饰形成了不同的服饰文化体系。

中国朝鲜族传统服饰整体以北方(阿尔泰)系服饰样式为基础,也深受公元前 7 世纪斯基泰骑马民族服饰文化的影响。两者都因游牧民族特性,有着上下装明确区分且穿裤子的特点,这一点从中国东北地区出土的古代壁画中可得到印证。

中国朝鲜族的传统服饰在漫长历史中虽受周边文化影响,但未发生剧烈变化,直到历史发展进程中受多元文化影响,逐渐形成了独特风格。这一时期,原本的腰带被服饰的标志性元素 —— 盘扣取代,服饰文化也从单纯蔽体,发展出特意缩短衣长、用装饰填补空白的特点。随着时间推移,各种元素不断演变或衍生,最终形成了成熟的传统服饰体系。

偶尔,人们会像传统服饰文献中的整理表那样,只想到某个时期的代表性样式,进而认为 “近代以来大家都只穿短款、露肤的服饰”。当然,这种整理方式并非错误,但存在一定需要纠正的地方。

准确来说,中国朝鲜族传统服饰的变迁并非 “短上衣演变成唯一样式”,而是 “新增了短款样式”。从史料来看,即便到近代,此前的服饰样式依然存在,传统服饰文化从来不是一个时期只有一种样式,而是多种样式并存、相互融合的。

即便是最基础的裤装或裙装短上衣,不同时期也有不同模样,且因装饰方式不同呈现出多样形态。即便外套表面看似相似,细究细节也会发现种类繁多。除了道袍、快子等知名款式,从结构和形态上看,即便没有明显区分,也存在各具特色的多种服饰。


参考史料可知,有说法称女性传统裙装内只穿内衣、衬裤等,但从老照片中裙下脚踝部分能看出,女性同样遵循上襦下袴样式,裙内必定穿裤。此外,从照片和记载中能看到女性像男性一样只穿裤装生活的场景,可见女性不穿裙子只穿裤子并无不妥。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099_4438.jpg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099_7639.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00_9819.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01_7701.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02_1924.webp
 


옛부터 삼국시대~조선에 이르기까지 한복은 기본적으로 상유하고(上襦下袴) 양식을 따르고 있다. 또한 아한대성 기후조건 덕에 몸을 감싸여미는 y형식의 의복문화가 잘 정착할 수 있었다. 참고로 중국의 한푸는 기본적으로 위아래 한 벌인 통옷이지만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 탓에 대체로 상의하상(上衣下裳)이라 불리며 차별되는 의복문화를 가지고있었다.


전체적으로 북방(알타이)계 호복의 양식을 근간으로 두며, 기원전 7세기의 기마민족 스키타이의 의복문화에서도 꽤나 영향을 받았다. 둘다 유목민족 특성상 상의와 하의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특징이며 바지를 입는다. 이러한 양식은 고구려 벽화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다. 


한민족의 전통의상은 오랫동안 주변국들의 영향을 받아왔지만 큰 변화를 보이진 못하다가 고려에 이르러 원나라에게 큰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이때 기존의 허리띠 대신 한복의 상징인 옷고름이 생겨났다. 단순히 가리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의도적으로 길이를 줄여 빈부분을 장식으로 채운다는 식의 의복문화가 생긴것도 이때부터이다. 이후 시간이 흐름에따라 다양한 요소들이 사라지거나 파생되었으며, 조선에 이르러 밑의 양식들을 끝으로 전통의상이 완성되었다.


간혹 사람들 사이서는 한복 문서에 올라와 있는 의상 정리표처럼, 한 시기의 한 대표양식을 떠올리며 "조선후기에는 모두가 짧고 노출하는 옷만 입었다." 라는 생각들을 하기도 한다. 물론 그러한 정리방식이 잘못되었다 말할 순 없지만, 어느 정도 정정할 부분이 있다.


정확한 한복의 변천사를 표현하자면, 시간이 흐를수록 저고리가 "짧은 양식으로 변화" 가 아닌 "짧은 양식도 추가" 이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보여지듯 후기~구한말 시절이라도 이전시기의 한복양식들은 여전히 존재해왔으며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거나 묘사되는 것처럼 한 시기에 하나의 양식이 아닌, 다양한 양식들이 다함께 복합적으로 존재하던 것이 한복문화였다.


가장 기본적인 바지or치마저고리 만 해도 시대별로 다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꾸미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습들로 표현된다. 외투라 하더라도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일 수 있으나 내부를 세세히 따져보면 그 수가 절대 만만치 않다. 도포나 쾌자와 같이 유명한 것들은 물론이고, 구조적, 형태적인 측면에서 볼때 뚜렷이 구분되지 않더라도 각자다른 성격을 지닌 다양한 한복들이 존재한다. 한복/종류 참고,


참고로 여성의 한복치마 안쪽으로해서 속옷, 속바지정도만 입었던 것으로 묘사되어지기도 한다. 허나 사진속 치마 밑 발목부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여성또한 상유하고의 양식에 치마안은 무조건 바지를 입었다. 나아가 사진과 기록을 통해 남성처럼 바지차림으로만 생활하는 모습들을 찾아볼 수 있으므로, 여성들이 치마가 없이 바지만 입어도 별 문제가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1. 古代至近代早期的朝鲜族传统服饰삼국시대-고려한복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19_3979.webp


这一时期,服饰文化的独特性尚未完全形成,与北方系服饰类似,基本着装为上衣、下装、腰带、帽子和头巾。当时便服保持着民族特色,而礼仪服饰则吸收了多元文化元素,形成了二元服饰体系,上层民众在日常生活中也穿着本民族传统服饰。中国朝鲜族的服饰文化长期稳定传承,近代以来逐渐形成了如今我们所见的样式。但无论过去还是现在,其基本都遵循上襦下袴形态,男女皆以裤装和短上衣为基础,外搭袍(外衣)或裙子。
古代时期,东北地区相关族群的服饰风格差异不大,随着历史发展,包括中国朝鲜族在内的东亚各族群逐渐形成各自特色,这一过程不过数百年。因此,这一时期整个东北亚文化圈的服饰文化呈现出一定相似性。
近代早期的服饰与此前差异不大,受中原文化影响,出现了短上衣外搭裙子的样式,但影响有限。直到后期受多元文化交流影响,服饰才开始发生较明显变化,短上衣长度缩短、盘扣出现等特点逐渐形成,为后续样式奠定了基础。

때만 해도 의복문화의 독창성이 생기기 전이라서 북방계 의상과 비슷하게 기본적인 상의와 하의, 허리끈, 모자와 두건을 기본착장으로 삼았다. 그당시에도 조선과 같이 평복은 고유의 형태를, 관복 및 공복은 중국의 복식을 받아들인 이분적 복식 제도였으며 상류층도 일상에서는 고유의 한복을 입었었다. 한민족의 의복문화는 오랜시간을 특별한 변화없이 유지되어왔으며 본격적으로 현재의 한복을 만들어낸것은 조선에 이르러서이다. 그렇다 한들 한복은 예나 지금이나 기본적으로 상유하고의 형태를 벗어난 적이 없었으며 남성, 여성 할 것 없이 기본적으로 바지와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포(겉옷)이나 치마를 입었다.

삼국시대까지만 해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스타일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한중일이 국가마다의 독창성을 지니게된 것에는 약 수백년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기에 이 시기에는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문화권의 모든 국가에서 유사한 형태의 복식 문화를 보인다.

고려의 경우 이전의 의복과 별 차이가 없었으며 당나라풍이 유행하면서 저고리위로 치마를 입는 의복이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했으며, 고려말기에 있던 원 간섭기의 ​영향으로 생겨난 몽골풍의 유행을 통해서야 비로소 한반도의 의복문화는 큰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대표적으론 이때부터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고, 고름이 생겨나 조선으로 이어지게 된다.

2. 长上衣样式(장저고리 양식)
这是中国朝鲜族传统服饰中留存最久的样式。此后的服饰以不同形态发展,因此在多个方面呈现出显著差异。
其轮廓呈▲形,作为早期样式,无露肤部位,以两件套为基础;短上衣线条呈 / 走向,设有专门的腋下结构。短上衣平均垂至腰部,部分可达手腕。这些结构特点在中期后因短款■形轮廓流行而逐渐边缘化,但仍被穿着,尤其在秋冬寒冷时节常见。
优点是因面积较大,一定程度上掩盖了早期服饰制作技术的不足,这一点在后期样式中尤为明显。缺点是上下区分不明显,难以展现身形美,可能显得身材矮小臃肿;手臂收拢时,衣服易向前鼓起。为改善这些问题,中期样式应运而生。
虽为近代早期的代表样式,但并未随时间消失,从近代到现代,长上衣一直被传承。不过,随着短上衣样式的普及,长上衣在现代服饰设计和媒体中较少出现,许多人对其了解有限,作为民族文化遗产,仍有较大的开发和发展空间。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3_2885.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3_590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4_006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4_2888.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4_70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4_981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5_3068.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5_577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155_8714.webp



한복 양식 중 가장 오래도록 살아남았던 양식이다. 이 이후의 한복들은 이것과는 다른 형태를 두고 발전하였기에 다양한 부분에서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양식이다.

▲의 실루엣을 보여주며 초기양식인 만큼 아직 노출부위가 없어 2피스가 기본이고, 저고리의 형상이 /로 나아가며, 겨드랑이를 위한 부분이 따로 존재한다. 평균적으로 저고리가 허리부근까지 내려오나 경우에 따라 손목까지 길어진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들은 중기이후로 짧은 ■의 실루엣이 유행하게 되면서 중심에서는 밀렸으나 여전히, 특히나 가을/겨울처럼 쌀쌀할 때 주로 입었다.

장점으로는 면적이 넓은만큼 부족했던 의복제작기술이 어느 정도 가려진다는 것으로, 이러한 점은 후기양식에서 크게 부각된다. 단점으로는 위아래의 구분이 부족해 신체미가 보여지기 어렵고 몸이 짧고 뚱뚱하게 보여질 수 있다는 점, 팔을 모았을때 자칫 옷이 앞으로 부풀려지기도 한다는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만들어진 것이 바로 중기양식이다.

이러한 양식이 조선초기를 대표한다지만 시간이 흘렀다 하여 그 문화가 사라진것은 아니었기에, 조선의 멸망 이후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긴저고리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 들어서면서 짧은 저고리 양식만 유지되는 바람에, 여러 미디어와 디자인계에서 잘 보이지 않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실제로 긴저고리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도 있고, 조선초기의 유산이라 여기기도 하는등, 아직 개발 및 발전될 부분이 많은 양식이다.


3.中上衣样式(중저고리 양식)
这是近代时期中国朝鲜族中最受欢迎的样式,在近现代的历史进程中得以留存,也是如今朝鲜族聚居区传统活动中常见的服饰。它是为解决早期样式缺点而设计的,也是后续多种样式的基础。
其轮廓呈■形,短上衣平均垂至(胸部下方~腰腹)位置。短上衣线条呈竖直线条,省略腋下部分,长度较之前缩短,因缩短产生的空白由兼具服饰与装饰功能的裙腰和胸挡填补。随着这种露肤装饰的出现,传统服饰发展为三件套,不再像早期那样连贯,上下区分更清晰,能更好地凸显身形。即便同属中期样式,装饰技法也多样:有完全不露肤的、仅腰部稍收紧的、类似后期大幅收紧的等。
“■形短上衣、因缩短产生的露肤装饰” 这一美学元素不断延续变形,成为后续所有样式的基础,在结构上影响深远。
优点是解决了早期样式的大部分缺点:能展现身形、缓解鼓起现象、开拓新的装饰文化,推动了传统服饰文化的发展。缺点是作为后续样式的基础,后期样式多仅改变长度或添加外来元素,未能如前期般持续创新,陷入一定程度的停滞。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3_800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4_0931.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4_7029.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5_7139.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6_0376.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6_664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6_9498.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7_858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8_2705.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49_6456.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64_94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65_2644.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65_8908.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266_3087.webp


당시 조선에서 가장 인기있던 양식이자, 6.25당시와 이후에도 살아남았으며, 동시에 대한민국의 관광지 등지에서 가장 많이 입혀지는 옷이기도 하다.[5] 기존에 있던 전기양식의 단점들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결과이며, 설명할 이후의 양식들에게 기초가 되어지는 양식이기도 하다.

■모양의 실루엣을 가지며 평균적으로 저고리가 (가슴 밑~흉통)까지 내려온다. 저고리의 형상이 | 자로 나아가며 겨드랑이 부분이 생략되었고 저고리의 길이가 전보다 줄어들었는데 줄어든 만큼의 빈부분을 매우는 것은 치마허리와 가슴가리개라는 의상 겸 장식이다. 이러한 노출장식이 생겨나면서 한복은 3피스로 발전하게 된다. 덕분에 초기양식처럼 쭉 연결되지않고, 위아래가 더 명확이 구분되어 인체의 실루엣을 더욱 살릴 수 있었다. 이러한 장식기법은 같은 중기양식이라도 각각 다르게 표현되는데, 노출이 아예 없는 경우, 허리부분으로만 살짝 들어내는 경우, 후기양식과 비슷하게 크게 들어내는 경우 등 다양한 양상들을 보인다..

"■모양의 저고리, 줄인만큼 생기는 노출장식" 이러한 개념의 미적요소들은 계속 이어지고 변형되어 추후에 생겨날 모든 한복양식들에게 기초가 되어 구조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장점으로는 기존의 초기양식의 단점들을 대부분 해결했다는 것이다. 신체적인 실루엣이 드러나게 된 점, 부풀림 현상 완화, 새로운 장식문화 개척 등 한복이란 의류문화에 큰 발전이 있었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위에서 말했듯 다른양식들의 기초가 되어지는데 단순히 길이를 바꾸거나, 서구적인 장치를 추가하는 등, 이전과 같은 성장을 보이지 못하고 단순히 제자리걸음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는 점이다.

4. 短上衣样式 (단저고리 양식)
继承并发展了中期样式元素,是近代后期具有代表性的短款上衣样式,也因此让部分人对传统服饰产生了误解。
其特点是短上衣仅及(胸部上下),长度极短,穿着时衣襟轻系。整体结构与中期样式一致,后期出现了将裙子从腰部系改为胸部系等细节变化。最突出的是对露肤装饰的极致运用,因在裙腰和胸挡装饰上投入较多,呈现出多样形态:不仅是简单围布,还通过垂坠、打结、褶皱、加腰带等方式,用一块布制作出多样的胸部装饰。
优点是丰富了露肤装饰的形态,形成了传统样式的成熟形态。但作为服饰也存在缺点:为装饰将短上衣缩至胸部上方,已婚女性为哺乳和劳作方便,常将作为露肤装饰的胸挡仅穿至胸部下方或完全不穿,手臂上举时衣服随身体上移,导致胸部和腋下暴露,成为服饰设计上的明显缺陷。
如相关史料记载,当时中上层民众会用胸挡妥善遮盖,无此问题,但下层民众因劳作需求,对这一问题关注度较低。这一情况被部分外来视角片面记录和曲解,甚至被用于对传统服饰的不当评价,成为短上衣样式最大的争议点。
此外,早期和中期样式因面积较大,视觉上较为协调,而后期短上衣因尺寸过小、形态单薄,显得服饰工艺粗糙;且露肤装饰所用布料比加长传统短上衣更耗费材料。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47_642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47_9534.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48_526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48_944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49_3489.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49_6511.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50_063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50_4741.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50_7596.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51_180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64_1365.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64_4481.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66_0511.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366_3503.webp


중기양식의 요소들을 계승하고 발전시켰으며, 조선후기를 상징하는 짧은 저고리를 만들어낸 대표적인 양식이다. 반대로 이때문에 한복에 대한 안좋은 시선들을 만들어내버린 장본인이기도 하다.

평균적으로 저고리가 (가슴 위~밑)일 정도로 겨우 가리거나 노출하는게 특징이며 매우 짧고 옅게 여미어 입는다. 전체적인 구조는 중기양식과 동일하며 보통 치마를 허리부분에서 묶던것이 후기로 접어들며 가슴부분에서 묶기도 하는등 소소한 변화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점은 기존의 노출장식에게 극단적으로 다가간 양식이란 것이다. 치마허리와 가슴가리개의 노출장식에 많은 것을 투자한 경우이다 보니 장식부분에 다양한 형태가 나타났다. 전처럼 단순히 천을 두르는 것만이 아닌 늘어뜰이기, 매듭짓기, 더 감아 부풀리기, 허리띠 추가로 묶기 등 천 하나로 다양한 형태의 가슴장식을 만들어 입었다.

장점으로는 기존의 노출장식을 더욱 풍성하고 다양하게 만들었다는 것, 전통양식의 최종형태라는 것이다. 허나 이러한 장점과는 반대로 의복으로서 단점도 드러난다. 장식을 위해 저고리가 가슴 윗부분까지 짧아졌음에도 기혼여성의 경우 노출장식인 가슴가리개를 수유와 노동의 편의를 위해 가슴아래까지만 착용하거나 아예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는데 팔을 위로 향할 경우 신체를 따라 옷이 위로 올라가면서 가슴과 겨드랑이가 그대로 노출되고 만다는, 의복에 있어서 큰 결함이 생겨난 것이다.

토플리스, 조선/오해에 나오듯 그당시 중상류층 조선인은 말기, 가슴가리개로 감싸고 살은 드러나지 않으므로 해당사항이 아니었지만, 하류층 조선인들에게는 유방 노출을 문제로서 신경쓸 겨를도 없었는데, 조선에 대한 식민사관이 필요하던 일본제국이나 해외인사들에게 조선에 대한 부정적인 기록과 왜곡된 인식[7]을 남기게 하였고, 이러한 점을 빌미삼아 일반화해 한복을 비하하고 왜곡하는 혐한들이 증거자료랍시고 쓰기도 한다.[8] 이처럼 후기양식의 가장 큰 단점은 한복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형성하는 중심역할을 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어느 정도 크기가 있었던 전기, 중기양식은 면적이 꽤 컸던만큼 보기에 큰 불폄함이 없던 반면 후기양식의 저고리는 그 크기가 매우 작고 형태가 위태롭다 보니 의복수준이 낮아보이게 하는 단점도 있고, 노출장식에 쓰이는 천이 일반적인 저고리의 길이를 늘리는 것보다 조금 더 많은 자원을 소모하게 한다는 것이 있다.

5. 融合样式(서구 양식)
随着近代中外文化交流,形成的一种融合样式,历史相对较短。它虽属中期样式的延续,但受外来影响,与传统样式有较多差异,成为现代样式的基础。
短上衣平均固定在(胸部下方)位置。与其他样式的多样长度不同,这种样式的长度略短于腰腹。此时,传统 “系腰裙” 被外来 “连肩裙”(又称 “统裙”)取代,露肤装饰的空间消失,身形的展现也随之弱化。此外,还出现了用纽扣代替盘扣、加外来腰带等变化,部分传统元素被外来元素替代或消失。
后来,随着外来文化影响扩大,以女子学校为中心兴起了穿统裙的风潮,这种样式在朝鲜族聚居区逐渐普及。因此,从近代后期到现代的照片中,可见统裙广泛流行,替代了此前的多种样式。
优点是简化了服饰结构,解决了短上衣的露肤问题 —— 虽短上衣长度未明显增加,但因裙子从肩部开始整体包裹身体,即便短上衣上移,遮盖部位也为裙子而非肌肤。缺点是牺牲了传统服饰特有的轮廓和美感:短上衣处于胸部与腰腹间的尴尬位置,统裙的使用使露肤装饰消失,身形展现反而不如早期样式。好在穿着者意识到这一点,通过选择稍长的短上衣或另系腰带来调整装饰和轮廓,寻求一定的变化。
不过,受近代以来的社会动荡影响,传统服饰文化出现一定程度的断层,主流服饰逐渐受外来影响,传统服饰从日常着装逐渐变为礼仪服饰,功能被简化。在这一背景下,出现了与这种融合样式结构相似(短上衣 + 连肩裙)但风格不同的新样式。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2_3678.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2_651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3_287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4_1016.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4_443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5_4444.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5_85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426_6478.webp


일제강점기를 통해 서구열강의 문화가 유입되며 생겨난, 일종의 퓨전양식이며, 생각보다 그 역사가 비교적 짧은 의상이다. 이또한 중기양식의 연장선상이지만 서구의 영향을 받아 전통과는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후 생겨날 현대양식의 기초가 되어지는 양식이기도 하다.

평균적으로 저고리가 (가슴 밑)에서 고정되어진다. 다른 양식들은 크게 2가지 길이로 나뉘어 다양성을 보이는데 반해, 서구양식은 그 길이가 정확히 흉통보다 조금 짧은 길이를 유지한다. 서구양식으로 넘어오면서 전통적인 "허리묶음치마"가 아닌 서양에서 유입된 "어깨허리치마" 일명 "통치마"가 쓰여지며 노출장식이 활약할 공간이 사라져버렸고, 동시에 신체적인 실루엣 또한 축소되었다.[10] 이것 말고도 고름대신 단추를 쓴다든지, 서양식 허리띠를 맨다든지 하는 등 기존의 전통요소들이 서구식으로 대체되거나 사라지는 과정을 겪게된다.

이후 서양문물이 전통문화를 대체하기 시작하고, 여학교들을 중심으로 통치마입기 운동이 펼쳐지면서, 이러한 양식은 한반도 전역으로 널리 퍼지게 된다. 그덕인지 일제말기~6.25전후의 사진들을 보면, 그전까지 입어오던 다른 양식들은 죄다 엿바꿔먹었는지 온통 서구식 통치마 만이 판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장점으로는 의복의 단순화가 이루어졌다는 점,[11] 짧은 저고리의 노출의 문제가 해소되었다는 점이다. 저고리의 길이가 길어진것도 있지만, 치마가 어깨에서 시작에 신체를 통으로 감싸버리니 저고리가 짧아 위로 올라간다고 한들 어차피 그부분은 속살이 아닌 치마가 자리해주기 때문이다. 단점으로는 특유의 실루엣과 미적인 부분을 희생시키고 말았다는 것이다. 저고리는 흉통과 가슴 사이의 애매한 위치에 놓여졌고, 통치마를 쓰니 노출장식이 소멸하고 신체적인 매력이 전기양식보다 떨어지는 결과가 나왔다. 다행히도 입는 사람이 이를 알다보니 짧은 저고리 중에서도 그나마 긴 것을 입거나 허리띠를 따로 묶어서 장식과 실루엣을 가지고자 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변화를 주고자 했다.

그러나 일제의 문화통치, 6.25전쟁 등 여러 혼란기를 거치며 전통문화의 소실 및 퇴보가 일어났고, 사실상 주류문화가 서양식으로 바뀌며 한복은 의복의 개념에서 멀어져 허례허식화 되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복문화에서 기존의 서구양식과 동일하지만(짧은 저고리+어깨허리치마) 전혀 다른 양식의 복장이 등장하게 된다.

6. 男性传统服饰 (남성용 한복)
男性传统服饰的短上衣一般长至(腰部~手腕),裤装长至(小腿~脚踝),轮廓如早期女性服饰般呈原始▲形。短上衣长度多样,既有短至腰腹的,也有长至指尖的。看似仅与女性服饰存在裙装与裤装的差异,细究则有诸多区分点和共同点。
最明显的差异是男性服饰存在短袖样式,夏季照片中常见,实为类似现代运动衫的内衣短上衣,因此多呈半敞穿着状态,这一点也曾被误解为对传统服饰的不尊重。
共同点是虽概念不同,但都在短上衣下方露出内层服饰或装饰。观察劳作的男性可见,短上衣下方有 “第三区域” 显露:类似女性通过缩短短上衣露出内层装饰,男性也有类似理念,只是并非刻意展示内层,更接近 “利用剩余部分”—— 常用 “内衣短上衣” 或 “裤腰”:“内衣短上衣” 是长内衣从短外衣下露出;“裤腰” 是在裤腰下另系腰带,再将上部向下翻折,使其从短上衣下露出。
此外,关于头巾,许多资料常将其简化为简单的带状,但这一描述并不准确。近代男性会用布制作出多样形态的头巾,并非局限于带状。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0_022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0_317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0_920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1_3614.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2_175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3_280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3_571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4_186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4_4919.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14_876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22_278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23_20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23_522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24_3175.webp


평균적으로 저고리(허리~손목), 바지(정강이~발목) 정도이며, 초기 여성한복과 같이 원시적인 ▲모양을 띈다. 저고리의 경우 평균적인 길이가 있으나, 흉통만큼 짧은 것도 있고, 손끝까지 긴것도 있는 등 다양각색이다. 여성복과는 단순히 치마와 바지의 차이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구별, 공통 되는 특징들이 여럿 존재한다.

대표적인 차이점으론 남성용 한복은 여성용 한복과는 달리 유일하게 반팔 양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여름사진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그 정체는 지금의 러닝셔츠와 같은 역할을 하는 속저고리이다. 그래서인지 제대로 입은 것 보단 반쯤 풀어해친 모습의 사진들이 많으며, 이를 빌미로 한복을 까는 주장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공통점이라 하면, 그 개념은 다르지만 저고리 밑으로 의류 및 장식을 노출시킨다는 점이다. 위에서 콩타작을 하는 남자들을 잘 보면 저고리 밑으로 제3의 영역이 나와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용 한복에서 저고리를 줄인만큼의 빈부분으로 속장식을 들어내보이듯, 남성용 한복에도 비슷한 개념이 있다. 다만 여성용처럼 일부러 속을 보이는 개념이 아닌, "남은 부분을 재활용"하는 개념에 가깝다. 보통 "속저고리(속옷)" or "바지허리"가 쓰이는데, "속저고리"의 경우 긴 속저고리가 짧은 겉저고리 밑으로 드러나는 것이고, "바지허리"의 경우 바지허리 밑에 따로 허리띠를 묶고, 그 위를 밑으로 접어내림으로서 저고리 밑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12]

여담으로 머리수건의 경우, 여러 인터넷, 미디어매체를 통해 보면 단순히 띠를 두르는 것으로 한정되어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 허나 이러한 묘사법은 잘못된 것으로, 조선의 남성들은 머리띠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형태들로 천들을 꾸미면서 둘렀다.

7. 现代女性传统服饰 (현대 여성한복)
随着社会发展和文化交流,中国朝鲜族传统服饰也融入了时代元素,以之前的融合样式为基础发展,在设计上尝试创新,形成了现代样式。与仍具日常属性的早期融合样式不同,现代样式更具礼仪服饰属性,多用于婚礼、春节、中秋等特殊场合。
现代服饰的长度差异极端:短上衣延续后期或融合样式的短款,裙子虽为外来连肩裙样式,却长至脚踝。这种样式在近代照片中虽有出现,但多为上层或特定群体穿着,未在普通民众中普及,进入现代后才逐渐大众化。此外,现代服饰突破了传统的白色为主色调,采用多样染色,添加丰富花纹和装饰,显得绚丽多彩。这也使得与其他民族传统服饰相比,朝鲜族传统服饰在日常生活中应用较少,更多作为文化符号存在,因其过于侧重华丽外观而非实用功能。
因属于融合样式的延续,即便短上衣如后期样式般短小,也会被长裙完全遮盖,避免了身形暴露。
20 世纪,这种样式在朝鲜族聚居区广泛穿着,直至 2020 年,虽使用场景减少,但在传统节庆中仍常见,通过各类媒体也能轻易看到。
现代设计的服饰多遵循这一样式,由于对近代后期样式的设计较多,其他传统样式常被忽视。不过进入 21 世纪后,设计师开始关注其他样式,只是媒体中呈现的传统服饰仍以这一样式为主。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64_4908.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65_3445.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565_7569.webp


한반도가 서구화되어가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요소들 또한 이러한 흐름을 피할 수 없었다. 한복은 이전의 서구양식을 중점으로 유지되어가기 시작했고 한복의 발전과 디자인 또한 구한말의 양식을 가지고 이런저런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가 바로 현대한복, 그나마 실생활적 요소가 있던 기존의 서구양식과는 달리 철저히 예복의 성격을 취하게 되면서 결혼식이나 설날, 추석과 같은 특정 시기에만 입어지는 옷으로 변화하였다.

평균적인 의복길이가 매우 극단적으로 치우쳐 있다.. 저고리는 후기양식 또는 서구양식의 짧은 길이를, 치마는 서구식 어깨허리치마 이지만 발끝까지 덮어버리는 엄청난 길이를 자랑한다. 물론 구한말의 사진 속에서 저러한 양상들이 확인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확인되는바 대부분 양반규수와 같은 높은 사람들이거나 기생들이었지 일반 평민들 사이서는 확인되지 않는 양식이었다. 허나 그것이 현대로 들어서며 일반화된 것이다. 더욱이 기존의 흰색 중심에서 벗어나 다채롭게 염색을 하며, 다양한 무늬들과 장식들을 넣어 화려하게 꾸민다. 이러한 요소들 때문에 일본이나 중국과는 달리 실생활에 이용되지 못하고 문화적으로 고립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지는 것이다. 의복으로서의 가치대신 오로지 화려함과 보여주기에만 치중되었기 때문이다.

서구양식의 연장선에 있다보니 저고리가 후기양식만큼 짧아도 치마가 다 덮어줘서 신체가 노출될 일은 없다.

20세기 까지만 하더라도 남북한 모두 이러한 양상을 즐겨입었으며 2020년 기준, 남한은 그 수가 줄었지만, 북한과 조선족들에겐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는 양식이다. 허나 그 수가 줄었다 뿐 지금도 여러 미디어를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현대식으로 디자인되는 옷들의 대다수가 이러한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잘 봐줘야 조선말기의 한복을 디자인할 뿐 다른 전통양식들은 없다시피 취급되니,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다른 양식들에도 디자이너들이 손을 뻗기 시작했다지만 미디어에서 그리는 한복은 아직도 이쪽 양식이 대표적이다.

8. 现代男性传统服饰 (현대 남성용 한복)
受外来文化影响,男性传统服饰也出现了新样式,核心变化是 “纽扣” 和 “口袋” 的引入。
受外来服饰影响,出现了前门襟用纽扣的样式,用 “明口袋” 替代传统 “盘扣、暗口袋”。在此基础上又有变形,出现了用多个短盘扣代替纽扣的 “马甲式” 传统服饰。
与女性统裙样式不同,男性纽扣短上衣样式未广泛流行,因近代中后期西装传入,其类似的结构(纽扣、明口袋)、时尚感和新颖性使其被广泛接受,逐渐替代了传统男性服饰,不过在现代仍能在部分场合见到。
随着时间推移,男性传统服饰也面临挑战,如前文所述,传统服饰文化的式微和礼仪化趋势同样影响着男性服饰。
近代以后,受经济条件限制,服饰用料减少,整体质感下降。仅看裤装,便失去了近代的饱满,显得单薄。传统短上衣的▲形轮廓消失,现代服饰中常见的染色在男性服饰中也较少见,裤装和短上衣多保持白色。这一现象的原因之一是设计师对男女传统服饰的处理方式不同:女性服饰在裙装和短上衣的基础形态与装饰上多有创新,男性服饰则侧重外套(如背心、道袍)的装饰,导致设计固化。
实际上,男性传统服饰在设计、媒体呈现和认知上都落后于女性服饰,多样性不足。当女性服饰在多种样式上探索可能时,男性服饰仍局限于 “船形背心 + 内衣短上衣 + 外套” 的组合,两者的发展差距较大,许多人对男性传统服饰的现状感到惋惜。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636_62.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637_3177.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637_6193.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638_6095.webp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639_196.webp


남성용 한복에게도 서구열강의 영향으로 인해 새로운 양식이 생겨나기도 했었다. 그것이 뭔가 결론부터 말해보자면 바로 "단추"와 "주머니"다.

서양문물의 영향으로 단추가 생겨나 앞에서 옷을 여몄으며, 기존의 "옷고름, 복주머니"가 아닌 "단추, 호주머니"를 사용했다. 거기서 한번 더 변형해서 2번째 사진과 같이, 단추대신 여러 개의 짧은 고름이 달린 마고자 양식의 한복이 나오기도 했다.

여성의 통치마 양식과는 달리, 남성의 단추저고리 양식은 크게 빛을 바라진 못했었다. 그 이유는 일제중~후기에 접어들며 지금의 양복이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비슷한 구조(단추, 호주머니), 멋짐, 새로움 등의 이유들로 너도나도 양복을 챙겨입었고, 그대로 한복의 자리를 대체하는 바람에 얼마안가 사라지고 말았다. 허나 6.25 이후의 사진에서도 소수 확인되는 걸 보아 아예 소멸했던 건 아닌 듯.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남성용 한복에도 결국 문제가 발생하게 되니, 위에서도 언급했던 한복문화의 쇠퇴와 허례허식화가 찾아오고야 만 것이다.

전쟁이후 경제적으로 부족해지다보니 천을 아낀답시고 전체적인 품이 많이 죽어버렸다. 당장 바지만 봐도 조선때의 푸짐함이 사라지고 초라라고 후줄근한 행색을 보여준다. 기존의 저고리에서 보이던 ▲의 실루엣이 없어졌으며, 현대한복에서 흔하디 흔한 염색조차 없이 바지저고리 모두 흰색을 유지하는건 덤, 이러한 현상이 계속 유지되는 원인들 중 하나는 한복 디자이너들이 남성과 여성의 한복을 다루는 방식에서 서로 같지 못하다는 것이다. 여성용 한복의 경우 치마저고리의 근본적인 형태와 장식에 손을대는 반면, 남성용 한복의 경우 배자, 쾌자와 같은 겉옷 꾸미기에만 집중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디자인 방식은 한복 디자인의 고착화를 불러일으켰다.

실제로도 남성용 한복은 디자인, 미디어, 인식면에서 모두 여성용 한복보다 뒤쳐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양성에서도 꽤나 떨어지는데, 여성한복이 여러 양식과 가능성을 건드릴 때, 남성한복은 (붕어배레+속저고리+배자or쾌자)에서 바뀌질 않으니, 서로의 발전수준은 거의 한세기 정도 차이가 난다. 사람들 사이서도 남성한복의 수준에 안타까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9. 生活传统服饰 (현대 생활한복)
近代以来,社会快速变迁使包括传统服饰在内的民族文化一度被视为落后象征,面临被忽视的困境,这一时期新出现的传统服饰样式与历史样式差异较大,也让现代人产生了诸多误解。
但自 20 世纪 80 年代起,随着经济发展、生活水平提高和国际文化交流增多,人们对民族文化和身份认同的关注度上升。1986 年亚运会和 1988 年奥运会期间,朝鲜族传统服饰受到更多关注,以高校为中心兴起了 “穿民族服饰” 运动,位于民族聚居区的相关服饰店积极推动。原本 “现代传统服饰”“实用传统服饰”“日常传统服饰” 等名称并存,直至 1996 年 12 月,相关文化部门将其正式命名为 “生活传统服饰”。
其最大特点是去除盘扣等传统元素,全部用纽扣或拉链替代,口袋明显地缝在衣外;短上衣被重新设计为类似 bolero 的样式,马甲被设计为夹克样式,整体大幅添加了外来服饰元素。
但从实际来看,这种 “现代传统服饰” 在外观上更接近 “家居服”,而非传统服饰,缺乏传统元素,仅被称为 “传统服饰” 而已。
最终,现代传统服饰因市场混乱和热度下降,成为制约传统服饰市场发展的因素。
1996 年,相关文化部门积极推动相关事业:将每月第一个周六定为 “穿传统服饰日”,鼓励全员穿着;邀请 8 家传统服饰店和 7 家生活传统服饰店(当时的全部店家)为员工举办特别展销。从管理者带头穿着到普通员工参与,引发了广泛关注。
但亚洲金融危机后,消费者购买力下降,加上 “生活传统服饰能盈利” 的传言,许多原本制作外来服饰的店家涌入传统服饰行业,导致市场饱和。据相关部门统计,生活传统服饰店一度超过 500 家,需求锐减但供给增加了约 70 倍。
问题不止于此:多数店家为迎合未长期穿着传统服饰的消费者,开始去除甚至歪曲传统服饰的重要特征,如按外来服饰的修身版型制作以显露身形,随意去除面料、剪裁等关键元素;使用 100% 化纤(聚酯纤维),加上缺乏传统服饰制作知识的裁缝粗糙缝制,导致消费者对生活传统服饰的兴趣骤降,其形象也因此固化为负面。
此外,号称 “舒适” 的服饰因 “次品率上升” 变得不再舒适,消费者对高价购买的生活传统服饰的复购意愿急剧下降,这对其造成了致命打击。
最终,约 5 家知名店家破产,生产厂家缩减至数十家,市场陷入停滞。为盈利而采取的投机手段,最终产生了反噬。

aa155cab2fcf2436b10c93d459143eff_1754364662_0844.webp


과거 급격하게 진행된 서구화, 근대화로 인해 우리 사회는 한복을 포함한 전통문화를 구시대의 유물쯤으로 생각하며 보존은 커녕 청산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한복문화가 제 모습을 유지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이 시기에 새롭게 만들어진 한복의 정체성은 실제 과거의 한복과는 매우 다른 것이었고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오해들을 양산해내기도 했다.[13]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국제적인 문화교류도 증가되면서 자국 문화나 한국적 정체성에 대한 관심도 급증되었다. 1986년과 1988년에는 아시아게임과 올림픽게임을 치르면서 한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나게 되었다. 대학가를 중심으로 “우리옷 입기 운동’도 전개되었으며 특히 종로에 위치한 '질경이 우리옷'이라는 업체가 주도적으로 추진하였다. 원래는 현대한복, 모던한복, 실용한복, 일상한복, 생활한복 등의 명칭이 90년대 중반까지 병용되다가 1996년 12월 '한복입기'를 추진한 당시 문화관광부에 의해 '생활한복'으로 공식 명칭이 지정되었다.

가장 큰 특징은, 옷고름이나 대님을 없애고 전부 단추나 지퍼로 대체해버렸으며 주머니를 아예 겉감에 도드라지게 붙였다는 것이다. 또 저고리는 볼레로 형태로, 마고자는 재킷의 형태로 재해석하였다. 쉽게말해 서구적 장치들을 대폭 추가시킨 형태라는 것,

허나 현실적으로 따졌을때 말이 현대 "한복"이지 사진상으로 확인했을때 한복이라기보단 "잠옷"에 더 가까운 형태로 발전하였다. 그 어떤 전통적인 요소하나 없이 그저 옷 한벌 만들어놓고 한복이라 하는 꼴이다.

결국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며, 현대한복은 업체의 난립과 인기의 절감을 통해 한복시장을 위축시키는 요소가 되었다.

1996년 문화관광부에서 의욕적인 사업을 시작했다. 매달 첫째 토요일을 '한복 입는 날'로 정하고, 전 직원의 한복 입기를 추진했다. 또한 전통한복 업체 8곳, 생활한복 업체 7곳(당시 전부였음)을 초청하여 직원들을 대상으로 특별 전시판매를 열어주었다. 국장부터 한복을 입고 관심을 갖자 평직원들이 뒤따랐고, 이때부터 폭발적인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로 소비자들의 지갑사정이 여의치 않음은 물론인데다 '생활한복이 돈이 된다더라'하는 풍문이 돌면서 평화시장 쪽의 모방전문 서양옷 업체들이 한복업계로 대거 뛰어들어 레드오션이 되어버렸다. 문화관광부 쪽의 말을 따르면 한때 생활한복 업체가 500곳이 넘었다고 했다. 수요는 급감했지만 공급은 오히려 70여배가 늘어난 것이다.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대다수의 업체들은 수십년간 한복을 입어보지 않았던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복의 중요한 특징을 없애고 왜곡하기 시작했다. 서양옷처럼 체형에 딱 맞게 만들어 몸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섶, 대님 등 중요한 부분을 마구 없애버렸다. 그런가 하면 100% 화학섬유(폴리에스테르)를 썼고, 청바지를 바느질하던 재봉사들의, 한복에 대한 기초지식도 없고 정성도 결여된 바느질이 겹치면서 소비자들의 생활한복에 대한 매력이 갑자기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이미지의 생활한복의 모습으로 고착화되어버려서 인식 역시 나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편하다던 한복이 '불량률의 증가'로, 전혀 편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으면서 어렵게 샀던 생활한복에 대한 재구매 매력은 급격히 감소되기 시작하고, 생활한복에 대한 인상이 아주 나빠져 버린 것은 치명타였다.

결국 5개 정도의 유명업체는 부도로 쓰려졌고, 생산업체가 몇 십 개로 위축되면서 시장은 꽁꽁 얼어붙었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다. 돈벌기 위해 편법을 썼던 것들이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왔던 것이다.

No comment.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