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服的介绍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Writer阿豪♨전호

본문

韩服是朝鲜族的传统服饰。国际上公认的名称是韩服(Hanbok)。

通常,人们一提到“韩服”,大多只会联想到“朝鲜后期”乃至“朝鲜时代”的服饰,但严格来说,韩服并非特定时期的特定服饰,而是指代“韩民族的传统服饰”本身。大众常想到的韩服形象中,那种带有盘扣的女性传统服装是短上衣(저고리)。

韩服是朝鲜族文化的象征之一,也是其身份认同的组成部分。正如众多照片资料所呈现的那样,韩服的主要形态在很大程度上被朝鲜后期的样式所局限。如果不是对韩服感兴趣并进行研究的人,普通人对后期样式之前或之后的服饰样式的了解,在质量和数量上都有所欠缺。因此,包括本文在内的诸多说明性资料也多集中于后期样式,而此前的服饰则常被划分为“古代韩服”或“前期/中期韩服”等类别单独整理。

正如在关于韩服样式或种类的文献中简要整理的那样,韩服并非只有后期的样式,一个时代中就存在着多种样式。

女性的韩服:左侧分别是长上衣、短上衣、上服和中上衣样式;右侧是中上衣2、短上衣3样式。

男性的韩服:和女性一样,至少穿着从腰部到手腕各种样式的短上衣,最右侧是长袍。

从资料中可以看出,与大众普遍印象不同,韩服并非随着时代发展只演变为一种形态,而是一种拥有多种样式的传统服饰。这些服饰随着时代的流行趋势以及与其他国家的文化交流,在相互影响中既向外传播自身元素,也吸收他国元素,不断演变并一直保留了下来。

由于如今的便服穿着舒适且价格低廉,穿韩服的人已经大幅减少。在现代朝鲜族中,韩服早已失去了生活服装的属性,更多是作为文化内容、传统活动、旅游资源,以及在节日、婚礼或葬礼等婚丧嫁娶等特殊日子里穿着的服饰,应用范围较为有限。其实,就连西装,在20世纪90年代时还是男性上班时几乎每天都穿的生活服装,但进入21世纪后,随着休闲装扮的普及,也成了特殊日子才穿的服饰,韩服的情况与之类似。韩服虽然在不同时代有多种样式,但主要还是朝鲜末期以后的改良样式认知度最高。

========== 한국어 ==========

한복(韓服)은 조선족의 전통의상이다. 국제적으로 공인되는 명칭은 한복(Hanbok)이다.

일반적으로 "한복"에 대하여 '조선 후기' 내지 '조선 시대'의 복식만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말해서 한복은 특정 시기의 특정 복식이 아닌 "한민족의 전통의상" 그 자체를 가리킨다. 대중들이 흔히 떠올리는 한복의 이미지인 옷고름이 달린 여성 전통 복장은 저고리다.

한복은 조선족의 문화를 상징하는 요소이자 정체성 중 하나로 한복에 대한 주된 형태는 수많은 사진자료들로 남았듯이 주로 조선 후기의 것에 사로잡혀있다. 한복에 관심이 있고 조사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에야 일반인의 입장에서 후기양식 그 이전이나 이후의 양식에 대한 정보는 질과 양이 떨어진다. 그렇기에 이 문서를 포함하여 여러 설명하는 정보도 후기양식에 집중되어있으며, 그 이전의 옷들은 "고대한복" 혹은 "전기/중기한복" 같은 식으로 구분되어 따로 정리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복의 양식 이나 한복의 종류 문서에서 간략히 정리해놓았듯이 한복은 후기의 것이 전부가 아니며 다양한 양식이 한 시대에 공존했다.

여성의 한복들. 왼쪽은 장저고리, 단저고리, 상복과 중저고리 양식이다. 오른쪽은 중저고리2, 단저고리3 이다.

남성의 한복들. 여성과 마찬가지로 최소 허리부터 손목까지 다양한 양식의 저고리를 입었다. 맨 오른쪽은 두루마기

자료들에서 보여지듯 일반적인 시선과 달리 한복이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가지 형태로만 변하지 않고 다양한 양식들을 지녔던 전통의상이며, 이러한 의상들은 시대의 유행과 타국과의 문화교류에 따른 상호작용으로 타국에 요소를 주거나 타국의 요소를 받아들이며 지속적으로 변천해왔고 유지되었으며 마지막까지 그 모습을 유지해왔다는 것이다.

입기 편하고 가격도 저렴한 오늘날의 사복에 밀려 입는 사람들의 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현대 조선족들 사이에서 한복은 이미 생활복의 성격을 오래전에 잃고 문화 콘텐츠, 전통행사, 관광 자원, 명절 의복, 결혼식 또는 장례식 같은 경조사같은 특별한 날에 입는 옷으로써 제한적으로만 활용되는 편이다. 사실 양복마저 1990년대 까지는 남성들이 회사에 출근할 때 거의 매일 입는 생활복이었으나 캐주얼 차림이 일반화 된 2000년대 부터는 특별한 날에 입는 옷이 된 것과 동일. 한복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양식들이 있지만 주로 조선 말기 이후의 변형된 양식이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가진다.

No comment.

Search